[인사말]
이번에 Mac M4 칩이 가성비 있게 출시하면서, 개발 PC 를 Linux -> Mac 으로 갈아타게 되면서 mac 관련된 개발환경을 세팅하게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Linux 와 다르게 적용되는 명령어 들이 있어서 해당 포스트를 Mac용으로 다시 작성합니다.
포스팅의 목적은 Ctrl+c Ctrl+v 만으로도 개발 환경이 세팅되기를 원하여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HomeBrew 설치]
개발 관련되어 많은 서비스의 설치를 도와줄 플러그인 HomeBrew 를 설치해줍시다.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다음 HomeBrew 를 환경에 세팅해줍니다.
echo >> /Users/mark/.zprofile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Users/mark/.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Terminal 셋업]
첫 번째로 zsh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리눅스(Mac)의 기본 Shell 은 /bin/bash 를 사용하지만
여러 플러그인을 사용하기 위해 zsh 와 oh-my-zsh 플러그인까지 설치할 예정입니다.
[ZSH 설치]
@DESKTOP-TCIQ5U1:~$ zsh
Command 'zsh' not found, but can be installed with:
sudo apt install zsh
zsh 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위와 " zsh " 입력시 위와 같이 나옵니다.
brew install zsh
zsh를 설치한 이후 다시 zsh를 검색하면 터미널의 대기 상태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SKTOP-TCIQ5U1:~$ zsh --vesrion
zsh: no such option: vesrion
@DESKTOP-TCIQ5U1:~$ zsh
DESKTOP-TCIQ5U1% zsh --version
zsh 5.8 (x86_64-ubuntu-linux-gnu)
위와 같이 zsh 가 설치되었고 version까지 확인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oh-my-zsh 설치]
brew install curl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robbyrussell/oh-my-zsh/master/tools/install.sh)"
를 통해서 oh-my-zsh 를 설치해 줍니다.
oh-my-zsh 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vi ~/.zshrc
source ~/.zshrc
위 두 명령어는 방금 설치한 oh-my-zsh 의 설정 (플러그인, 테마) 등을 바꿀때 사용하며, 적용시 사용되는 소스입니다.
우선 설정 화면을 열기 위해 설정 화면을 열어줍니다.
[Oh-My-Zsh 테마 변경]
vi ~/.zshrc
https://github.com/ohmyzsh/ohmyzsh/wiki/Themes 해당 링크에서 원하는 테마를 {Theme_name} 자리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이후 원하는 테마를 골라 ZSH_THEME = "{Theme_name}" 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dieter" 테마를 선택하였습니다.
ZSH_THEME = " dieter " 로 수정해주고 저장하였습니다.
[Oh-My-Zsh 플러그인 설정]
이제 oh-my-zsh 에서 많이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설치된 oh-my-zsh의 플러그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oh-my-zsh 플러그인 위치에 파일들을 확인해보겠습니다.
ls ~/.oh-my-zsh/plugins
많은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지만
zshrc 설정 화면엔 git 하나만 등록된걸 볼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사용할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러그인은 zsh-autosuggestions, zsh-syntax-highlighting 입니다.
위 3개의 플러그인을 설치해보겠습니다.
zsh-autosuggestions : 기존에 사용한 명령어를 자동완성해줍니다. Tab 키를 통해 자동완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zsh-syntax-highlighting : shell 명령어 중 옳바른 것은 초록색으로 / 틀린 명령어는 빨간색으로 표시해줍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_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
위와 같이 git clone을 통해 설치 한 다음
vi ~/.zshrc
plugins=(git zsh-syntax-highlighting zsh-autosuggestions)
source ~/.zshrc
위와 같이 zshrc 설정 -> plugins 에서 설치한 플러그인을 등록해 준 뒤 source 를 통해 활성화 시켜주면 됩니다.
위 플러그인이 설치되면 위와 같이 변경 됩니다.
[Iterm2 상태 창 추가]
iterm2 기능 중 상단바에 상태창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cmd + , 를 입력하여 setiing 화면을 키면 Profile > Session > Status bar enabled 를 체크해주면 itemr2 상단에 상태바가 추가됩니다.
이상으로 Mac / 리눅스 설치시 초기로 설정해야하는 터미널 ZSH / oh-my-zsh 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참고로 필자는 윈도우에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셋업 > MAC 셋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Mac에서 Redis 사용하기 (0) | 2025.05.02 |
---|---|
[BlockChain]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결(0) - 어떻게든 되겠지 (0) | 2025.01.14 |
[DataBase] DB 계정 추가하고 권한 부여하기 (0) | 2024.10.16 |
[Linux] npm yarn 설치하기 (0)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