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 썸네일형 리스트형 [DataBase] Docker MySQL을 통해 외부 연결가능 서버 만들기 회사에서 MSA (Microservice Architecture)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여러 서비스에서 접근 가능한 DB 클러스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개발(Dev) / 테스트(Test) 환경에서 개인의 로컬 PC에서도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단, 운영(Live) 환경은 보안을 위해 Private PC에서 접근 제한이 걸리며, 이는 사내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Local MySQL을 사용하다가 → 미니PC에 Linux 서버를 구성하고 → Docker로 CI/CD 서비스를 구축하는 과정 중 Database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드립니다.🧠 먼저, 개념 정리부터!📌 IP 주소.. [Mac] Mac에서 Redis 사용하기 이번 포스팅은 Redis를 설치하여 사용해보려고 합니다.Redis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캐시하고 이를 통해 빠른 응답처리를 할 수 있는 인프라 서비스입니다.많은 기업에서 Redis를 이용한 서비스 최적화 등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Mac 환경에서 Redis를 설치하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스팅하였습니다. brew install redis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무수히 많은 설치 과정을 통해 redis가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을겁니다. 설치가 완료되고redis-server위 명령어를 통해 Redis port와 P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Redis를 실행하고 Mebis를 통해 Redis를 접속해 보겠습니다. brew services start redis위 명령어로 redis를 실행.. [Tech] gRPC란 무엇인가? 해당 게시물은 AI '뤼튼' 으로 작성된 게시물입니다. 학습을 목적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블록체인 & 백앤드 개발자로서 진행하는 개인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PC와 gRPC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이 두 기술은 현대의 분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1. RPC란 무엇인가?RPC(Remote Procedure Call)는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의미해요. 즉,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함수를 호출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RPC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단순화하여, 마치 로컬에서 함수를 호출하는 것처럼 원격에서 함수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해줘요. 이 과정에서 데이터는 패킷으로 전송되고, 호출된 함수의 결과.. [프로젝트] 블록체인 수집 프로그램 블록체인 & 백앤드 개발자로서 진행하는 개인 프로젝트입니다. 현 프로젝트의 주 목표는 개인 Github Repository를 관리하고 언어 별 서비스를 하나씩 구축하고자 하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블록체인을 크롤링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API를 수집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앞서 경험했던 프로젝트 들을 기반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놓쳤던 기술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개선점을 개선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블록체인 수집 프로그램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우선 Geth를 통해 Node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야 합니다. 노드 플랫폼을 이용하면 비용이 발생하는 만큼 최대한 자체 노드를 띄우고 이더리움 블록 Syn.. [프로젝트] 블록체인 CrossChain - BackEnd INTRODUCE해당 프로젝트는 여러 블록체인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Etheuem, Polygon, Kaia, Bora 등등 각각의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블록체인을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 여러가지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는 블록체인 서비스와 BackEnd 서비스로 개발되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과 B.E 개발을 담당하여 포트폴리오를 2개로 분할합니다. SKILLBackEndLanguage : GolangFrameWork : NativeInfrastructure: Gorm, MemoryCache, HTTP, goRoutine Project Overview블록체인 Contract가 배포되고 서비스는 각각의 블록체인의 이벤트를.. [프로젝트] 블록체인 예치 서비스 - BackEnd INTRODUCE해당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을 Stake 서비스로 ProofOfStake(PoS) 와 비슷하다가 착각할 수 있지만 엄연히 다른 서비스입니다. PoS는 새로운 블록을 쌓기 위해 연산을 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인 반면, 해당 Stake 서비스는 블록체인 재화를 예치하고, 이를 통해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입니다. 즉, 은행 예치에 대한 이자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프로젝트에서는 블록체인 Contract 를 제작하고 테스트 및 검증 배포와 함께 B.E 서비스를 통해 블록체인 실시간 데이터를 API를 통해 제공하였으며, Admin 서비스로는 Grafana를 통해 데이터 모니터링 및 BackOffice API 를 제작하였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과 B.E 개발을 담당하여 .. [프로젝트] 블록체인 예치 서비스 - BlockChain INTRODUCE해당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을 Stake 서비스로 ProofOfStake(PoS) 와 비슷하다가 착각할 수 있지만 엄연히 다른 서비스입니다. PoS는 새로운 블록을 쌓기 위해 연산을 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인 반면, 해당 Stake 서비스는 블록체인 재화를 예치하고, 이를 통해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입니다. 즉, 은행 예치에 대한 이자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프로젝트에서는 블록체인 Contract 를 제작하고 테스트 및 검증 배포와 함께 B.E 서비스를 통해 블록체인 실시간 데이터를 API를 통해 제공하였으며, Admin 서비스로는 Grafana를 통해 데이터 모니터링 및 BackOffice API 를 제작하였습니다.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과 B.E 개발을 담당하여 .. [프로젝트] Java 플랫폼 서비스 INTRODUCE해당 프로젝트는 Java SpringBoo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프로젝트로 게임과 연동하여 아이템을 블록체인 ERC-20 / Native Coin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특성상 여러 게임사와 여러 블록체인을 연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게임 아이템을 상품으로 판매하여 ERC-20 / Native Coin을 화폐로 구매하고 판매자|구매자 에게 아이템과 재화를 정산해주는 서비스는 판매 아이템에 대한 정확함과 재화 지불에 대한 검증이 제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비즈니스 로직이 제안되었고 채택된 제안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설계하였습니다.프로젝트 목표- MSA 아키텍쳐 기반의 설계- 대용량 트래픽을 대비한 설계- .. 이전 1 2 3 다음